믿을 수 없는 사실앞에 선 우리,가슴 먹먹한 큰 울림 연극<하나코>!

 

 

90분의 시간이 지나고 배우들이 관객앞에 선 커튼콜 시간에는 관객들의 박수소리가 우렁차지만 왠지 슬픔의 메아리처럼 공허하다.
공연이 끝나고 공연장을 나서는 관객들의 표정이 침잠하다.마치 가까운 친척의 장례식장을 들렀다 나오는 사람들의 표정처럼 핏기가  없어 보인다.외면할 수 없는 진실.그 앞에 선 우리는 그저 나약한 존재들이다.


지금까지 언론에서 조심스럽지만 끊임없이 가해자인 일본에 대해 갈구해 왔던 그 열망이 공허한 메아리로 되돌아오고 그럴수록 피해 할머니들의 마음은 산산히 할퀴어 갔다.최근 손바닥 뒤집듯 하듯 일본과 정부가 할머니들의 동의없이 합의를 하고 외교 고위 간부가 할머니들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는 모습이 뉴스를 통해 국민에게 알려 졌다.
일본 정부의 예산으로 피해 할머니들을 위한 100억의 기금이 만들어지고 또 일본은 교묘히 자신들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최선책을 노렸을 것이다.정부도 할머니들이 살아 계신 상태로 사죄를 원했던 결과로 합의를 했다고 알려졌다.일본의 혐한 시위도 갈수록 가속되지만 일단은 이 문제에 대한 한 조용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 어떤 보상과 사죄도 그분들에 대한 위로가 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전쟁이라는 미명하에 인간이 저지른 죄악 앞에 그 어떤 것으로도 그 분들의 상처는 아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동안 많은 위안부에 관련된 연극중에서 최고의 리얼리티를 살리며 관객들의 마음을 울리는 수작으로 만들어졌다.


극 중 당시 일본인 특공대 군의관 오즈야마의 아들을 찾아 간 담당 PD가 피해 할머니를 만나겠냐고 묻자 그 아들은 말한다.'당신은 당신의 조국을 위해 일하고 나는 나의 조국을 위해 일한다.우리도 수 많은 원폭피해자들이 죽어 갔고 지금도 그 피해는 이어지고 있고 당시 수 많은 일본의 젊은 군인들이 죽었다' 며 만나기를 거절한다.이것이 일부 지식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본인들의 위안부에 대한 생각이다.


연극은 아버지가 꽃처럼 살라고 지어준 이름 꽃분이 대신 일본 이름인 하나코라는 이름으로 70년전 캄보디아에서 위안부로 있었던 할머니가 당시 같이 위안부로 있었던 동생을 찾기 위해 캄보디아로 떠나고 동생으로 알고 찾아 간 또 다른 위안부 렌 할머니 를 만나면서 방송국 PD와 여성학자 그리고 현지에서 약재상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얽히고 진실을 찾기 위한 공방이 벌어지는 과정과 당시 위안부의 실상을 보여 주면서 관객으로 하여금  숨소리조차 쉬기 어려운 당시 상황을 보여 준다.
위안부 피해를 입은 할머니의 동생 찾기와 또 다른 할머니의 고향 찾기를 통해, 전쟁 앞에 놓여진 인간과 여성의 비극을 다룬다. 군대를 이용해 국가가 저지른 성폭력 사건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소재로 하여 무참한 폭력과 억압을 바라보는 저마다의 시각과 인간의 죄의식에 대해 통찰한다.


2015 연극 창작산실 우수작품제작지원 선정작인 <하나코>는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작품이지만, 일본에 대한 감상적인 분노나 피해자를 향한 동정적 시선에서 나아가 이 문제를 연구하는 여성학자의 탐구적 시선과 언론인의 사실 취재 과정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좀 더 객관적인 차원으로 확장시킨 작품이다.
2014 연극 창작산실 대본공모 당선작으로, <해무>의 김민정 작가의 탄탄한 대본과 <레이디 맥베스>, <단테의 신곡>, <유리동물원>, <서안화차> 등 한국 연극계의 화제작들을 쏟아낸 한태숙 연출이 만나 최고의 배우들과 수작을 만들어 냈다.


70년 전 캄보디아에서 함께 위안부 생활을 하다 헤어져 소식이 끊긴 동생을 찾기 위해 위안부 피해자 등록을 한 한분이 할머니 역의 예수정, 캄보디아에 살면서 자신이 조선인이며 일본군 위안부 출신이라 주장하며 친언니를 찾겠다고 나선 렌 할머니의 역에 전국향의 연기는 극의 중심으로 최고의 연기를 선보인다 극중 협업자이면서도 사건을 대하는 입장 차이로 대립각을 세우며 갈등을 빚기도 하는 서인경 교수와 홍창현 피디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축인 만큼 그 비중이 상당한데,서 교수 역에 우미화, 홍 피디 역의 신안진은 실제로도 비슷한 나이로 중견 배우로 일컬어지기에 손색없는 연기 내공을 보여준다.
생생함을 살리기 위해 극중에서 일본어와 캄보디아어를 사용하는데, 캄보디아에서 나고 자랐거나 평생 산 것으로 설정된 세 여배우 전국향, 이지혜, 강다윤의 캄보디아어는 캄보디아인 원어민으로부터 지도받아 마치 현지인인 것처럼 능숙하다.
통역 김아름 역을 맡은 이지혜는 지난해 여성연극협회에서 여성 연극인들을 대상으로 한 ‘제9회 올빛 신인 연기상’(올올이 빛나는 자랑스러운 여성연극인상)을 수상했으며, 올해 초 극단 물리의 신진 연출가 김정의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에서 반전의 묘미를 보여준 넷째 딸 마르티리오 역으로 주목받은 바 있다.
그외에도 신현종, 김귀선, 박종태, 권겸민, 민경은, 박수진, 류용수 등 하나같이 탄탄한 연기로 연극계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배우들이 함께 해 큰 울림을 선사하는 연극<하나코>는 1월 10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다.
공연문의 림에이엠시 02-589-1001, 1066 로 하면 된다. 

 

 

 

 [포스터 이미지=림에이엠시 제공]

 

[시놉시스]
여성학 교수인 서인경은 캄보디아에 살고 있는 렌이라는 할머니가 조선인 일본군위안부 출신이라는 정보에 따라 할머니의 증언을
채록하려고 캄보디아 여행길에 오른다. 역시 일본군 위안부 출신이며 캄보디아에서 함께 위안부 생활을 한 동생을 찾는
한분이 할머니, 그리고 이 사건을 취재하게 된 홍창현이라는 방송사PD와 동행을 하고, 자원봉사자 김아름이 현지에서 통역으로
합류한다.
프놈펜에서 만난 렌 할머니는 한분이 할머니와 자매라고 보기에는 외모가 너무 이국적인데다 기억마저 오락가락하여 두 사람이 자매

사이인지, 렌이 위안부 생활을 하긴 했는지 확실한 단서가 잡히지 않는다. 이를 지켜본 홍창현 PD는 경제적 사정이 어려운 렌 할머니

와 손녀 메이린이 한국정부의 지원금을 노려 꾸며낸 이야기가 아닌지 의심하고, 이들의 사연을 한국에 제보한 현지 약재상 박재삼은

사기꾼으로 취급당한다며 분해한다.
마침 한국을 떠나기 전부터 미리 의뢰해놓았던 유전자 감식결과 소식이 나오는데……

 

[시간적 배경]
현재를 시점으로 일제강점기, 정확히는 1945년 8월 과거의 시간을 넘나들며 극이 진행된다.

 

[공간적 배경]
시간적 배경이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오가듯 공간 배경 또한 가변적이다. 현재의 시간은 캄보디아에서 일본으로 변하고,
과거 시간은 캄보디아 프놈펜의 위안부 수용소‘낙원(라꾸엔)’이 극적공간이 된다.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등장인물]
현재의 인물과 과거의 인물로 나뉘어 등장한다.

 

한분이 할머니 80대
렌 할머니 80대
서인경 40대 여성학 교수
홍창현 40대 방송사 PD
박재삼 60대 약재상
김아름 20대 통역 자원봉사자
메이린 20대 렌 할머니의 손녀
사사키 60대 일본인

 

-과거의 인물-
한꽃분: 조선인 위안부(어린 한분이)
한금아: 조선인 위안부
다카하시: 독코타이(특공대) 군인 장교
오즈야마: 독코타이(특공대) 군의관
오또상: 위안소 관리인
* 한분이와 한꽃분은 같은 인물이다.

 

 

[커튼콜 사진]

 

 삭발한 일본군인 역의 배우의 연기는 탁월하다.

공분을 살만큼.......

 

 

 

 

 우미화,신안진 배우

 

 

 전국향 배우(렌 할머니 역)

 

 

 예수정 배우(한분이 할머니 역 )

 

 

 

 

 

 

[티켓]

[공연개요]
공연명: 하나코
공연일시: 2015년 12월 24일(목) - 2016년 1월 10일(일)
공연시간:월 ~ 평일 8시│토·일 4시│(*월요일 공연 있음 **1월 1일만 공연 없음)
             ***문화가 있는 날(12월 30일 수) 4시, 8시 2회 공연
공연장: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주최: 극단 물리
주관: 림에이엠시
후원: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위원회
티켓: 전석 30,000원
문의: 02-589-1001, 1066 (림에이엠시)
예매: 한국공연예술센터 www.koreapac.kr (02-3668-0007)
      인터파크 ticket.interpark.com (1544-1555)
      대학로티켓닷컴 www.대학로티켓.com (1599-7838)

Posted by 무림태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