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한 죽음, 의문의 죽음, 끔찍한 죽음....
'죽음‘에 얽힌 사연도 사람들의 다양한 인생사만큼이나 가지각색이다.
뉴 밀레니엄 시대를 고대하며, 20세기 말의 한국을 견뎌 낸
상처받은 사람들이 달빛 아래 모였다.
21세기의 우리는 또 무엇을 기대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세종문화회관 서울시극단(단장 김철리)이 올 가을 9월 21일(금)부터 10월 7일(일)까지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창작극 <달빛 속으로 가다>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연극 <달빛 속으로 가다>는
중견 극작가 장성희가 90년대 말에 쓴 작품으로 당시 작가가 기억하는 주변인의 ‘의문사’가 바탕이 되었다.
이 작품을 통해 자칫 무거울 수도 있는 ‘삶과 죽음’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침묵’, ‘느림’ 때로는 ‘웃음’으로 1980~90년대의 한국에 대한 기억들을 더듬으며 현대사회의 모습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연극은 매니아층이 아니거나
연극을 자주 접하지 않은 분들은 지루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장성희 작가, 김철리 연출 12년만의 재회, ‘2000년 새로운 예술의 해 희곡 선정作!
장성희 작가의 <달빛 속으로 가다>는 1999년 정부가 내건 ‘2000년 새로운 예술의 해 희곡 공모’에
선정된 희곡이다. 당시의 지원금만으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2000년 8월 2일부터 8일까지 일주일간
짧게 공연 된 후로 12년 만에 서울시극단의 김철리 단장과 다시 만나 세종 M씨어터에서 재연되는 셈이다.
386세대를 위한 향수, 21세기 젊은이들에게는 세대 간의 소통
극중 배경인 1999년의 시대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는 이 작품은 노골적으로 당시의 정치, 사회적 사건들을
꼬집어내지는 않는다.다만 그 시대를 살았던 현재의 장년층들이라면 충분히 연극을 보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옛 기억들을 떠올리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될 것이고, 젊은 연령층의 관객들에게는 다양한 ‘죽음’의 사연을 통해
윗세대가 견뎌 온 세월을 이해하며 현재 자신들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서울시극단 전 단원 출연, 객원배우 ‘남기애’와 ‘김 현’
오랜만에 서울시극단 단원들이 전원 출연하는 작품이라 정기공연으로의 의미가 더 빛을 발한다.
더불어 극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 ‘엄보살’ 役에 ‘남기애’, ‘노파’ 役에 ‘김현’을 외부에서 초빙, 합류시켜
작품에 한층 생기를 더해줄 것이다.
[줄거리]
깊은 산중에 있는 영불암에는 고시공부를 하다 실성한 청년 관식과 엄보살이 기거하고 있다.
어느 날, 백중제사준비에 바쁜 이곳에 자살한 사나이의 시체를 지게에 지고 한 중년 남자가 내려온다.
이어 늙은 시어머니와 며느리, 산에서 발을 접지른 중년의 의사, 그를 부축하고 온 의문의 중년남자,
사업이 망해서 공공근로를 하러 온 사람 등이 모여든다.
달이 중천에 떠오르며 죽음과 관련한 각자의 사연들이 교차하는데……
[사진:세종문화회관 서울시극단제공]
[티켓]
[커튼콜 사진]
'공연 및 영화리뷰,회상,당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그날이 올텐데]후기 (0) | 2012.10.08 |
---|---|
연극<유령소나타>후기 (0) | 2012.10.05 |
뮤지컬[김종욱 찾기]후기 (0) | 2012.10.02 |
뮤지컬[형제는 용감했다]2층 커튼콜 사진 (0) | 2012.09.28 |
뮤지컬[형제는 용감했다]후기 (0) | 201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