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년의 기억

나의 캐릭터 2016. 5. 23. 16:54
반응형

나 어릴적 살던 유년의 대부분을 보낸 시골 내가 살던 집을 카메라에 담았다.

 

지금이 아니면 이 집은 또 어떤 모습으로 바뀔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다.

 

내가 초등학생일때는 어른들이 그랬던 것처럼 책을 보자기에 싸서 등뒤에 대각선으로 묶고 운동장을 달려 교실로 가던 기억들.

나도 아마도 그랬을것이다.

 

아궁이에 산에서 캐온 죽은 나무의 뿌리(끌티)로 불을 지폈다.

초가 지붕이던 시절에는 지붕에 이엉을 엮어 썩은 지붕을 걷어 내고 새 지붕을 씌워야 했다.

지붕위로 어른들이 올라가 짚으로 엮은 이엉으로 다시 지붕을 씌우는 작업을 하곤 했다. 

 

이렇게 슬레이트로 개량하고는 짚으로 지붕을 만드는 작업을 안해도 됐다. 

 

 

 

 

 

겨울이면 장독대에는 집 저쪽 텃밭에서 따온 감이 익어가고 어머님이 감을 꺼내 주시기도 하고

내가 감을 먹기도 하던 추억의 장독대.

 

 

집으로 개울물이 흐르고 미꾸라지도 잡고 했다.

 

 

 

우리집 뒤에는 대나무가 무성하게 자란 친구의 집이 있었다.

그 친구는 우리 동네 골목대장

내가 부대장이었다.

 

대나무가 무성한 그 친구집 뒷간에는 부엉이도 살고 했다.

 

 

매화꽃이 봄이면 봄소식을 알리고,가을이면 석류가 빨갛게 속을 보였다.

 

 

여기는 형이 상으로 받은 호두나무도 심어졌는데,지금은 없어 졌다.

 

초등학생일때는 집에 돼지도 소도 닭도 키웠다.

개울가에서 낚은 물고기(탱보리라고 검은 고기를 그렇게 불렀다)를 삶아 닭모이도 주고,산양 우유를 짜서 아버지가 주시면 그걸 먹기도 

하고 소 여물을 끓일 꼴을 베러 친구들과 풀을 베고 나서 낫을 던져 땅에 꼽힌 모양에 따라 다른 친구의 풀을 내가 가져오거나 주기도 하는

풀따먹기도 했다.

 

이 텃밭에는 아버지가 심어 놓으신 딸기를 따고  산양젖에 밥도 넣고 딸기도 먹고 계란후라이도 해 먹곤 했다.

      

 

이 인공양어장에는 붕어와 잉어가 있어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다.

저 장독대 뒤로 무화과 나무가 있어 친구들이 부러워하곤 했다.

 

 

 

 

 

최근에 다른 분이 키우는 엄마와 애기강아지

 

귀엽네 ㅎㅎ

 

 

 

반응형
Posted by 무림태풍
,
반응형

 

첫눈과 함께 찾아온 첫사랑 추억여행!

 

한 폭의 수채화를 흩뿌려 놓은 듯 맑고 깨끗한 서정적 러브스토리.

 

심장이 콩닥콩닥 손발이 오글거리는 띠 동갑 청춘남녀의 가슴 따듯한 사랑이야기가 올 겨울 연극애호가들을 찾아와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다. 이달 말일까지 문화일보홀에서 개최되는 연극 <7080 첫사랑>이다.

 

무명연극배우 김연재는 공연이 끝난 대학로 어느 소극장에서 우연히 한 여학생을 만난다. 재미교포 2세로 한국에 들어와 유학 중인 띠 동갑 대학원생 이가영이다. 두 사람은 첫 만남에서 각각의 느낌으로 순수한 사랑을 느끼게 되지만 연재는 망설일 수밖에 없다. 띠 동갑이라는 나이 차이와 볼품없는 자신의 행색이 가영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내 포기하고 체념할 즈음, 자기주관이 뚜렷하고 당돌하기까지 한 가영은 그런 연재의 순박함에 알 수 없는 매력을 느끼게 된다. 해박하고 자상하며 유머까지 겸비한 연재의 순수성에 점점 더 깊이 빠져들고 마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공연은 엎치락뒤치락 반전을 거듭하며 알콩달콩 사랑놀이와 가슴 아린 이별 등을 서정적으로 펼쳐낸다. 공연 전체를 관통하며 때로는 잔잔하게 더러는 격정적으로 들려지는 뉴질랜드 마오리족 민요 포 카레카레 아나(Po Karekare Ana)’의 선율만으로도 7080세대는 아련한 추억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 7080세대라면 한번쯤은 캠프파이어 등에서 기타를 치며 불러봤음직한 포크송 연가(戀歌)의 원곡이 바로 그 곡이기 때문이다.

 

마치 맑고 깨끗한 한 폭의 수채화를 감상하듯 첫사랑의 장면연결은 담백하고 후반부의 사랑앓이는 보는 이들의 눈시울을 적시며 가슴을 아리게도 한다. ‘나도 한 때는 저런 사랑으로 가슴 뛰는 시절을 보내지 않았었던가!’  

2014년 대한민국창조문화예술대상 신인연기상에 빛나는 안재완(34)의 코믹능청스러운 연기가 7080 젊은이들의 사랑만들기에 감칠맛을 더해주고 있고, 당당하고 깜찍한 캐릭터의 이가영 배역을 유쾌하게 소화해낸 프리티 우먼 이미선(31)의 해맑은 연기가 관람자들의 아련한 추억여행을 이끌어 준다.

 

그저 웃음만 있고 깊이가 덜한 요즈음의 인스턴트식 사랑만들기가 아니라 밤새 연애편지를 써가며 설렘으로 긴 밤을 지새웠던 7080의 연애사()를 기록하고 싶었다.”는 작가 겸 연출가 김용을 대표(극단 글로브극장)연극 을 통해 지금의 연인들에게는 사랑의 폭과 깊이를, 그리고 7080세대에게는 가슴 절절했던 첫사랑의 향수를 느끼게 하고 싶었다.”고 전한다. 

- 1231일까지. //일요일 한정공연. 문화일보홀. 안재완 이미선 등 출연.

- 문의 : 02-764-4600

 

 

 

 

[상세 정보]

 

 

(사진 제공:극단 글로브)

반응형
Posted by 무림태풍
,
반응형

억울한 죽음, 의문의 죽음, 끔찍한 죽음....

'죽음‘에 얽힌 사연도 사람들의 다양한 인생사만큼이나 가지각색이다.

뉴 밀레니엄 시대를 고대하며, 20세기 말의 한국을 견뎌 낸 

상처받은 사람들이 달빛 아래 모였다. 

21세기의 우리는 또 무엇을 기대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세종문화회관 서울시극단(단장 김철리)이 올 가을 9월 21일(금)부터 10월 7일(일)까지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창작극 <달빛 속으로 가다>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연극 <달빛 속으로 가다>는

중견 극작가 장성희가 90년대 말에 쓴 작품으로 당시 작가가 기억하는 주변인의 ‘의문사’가 바탕이 되었다.

이 작품을 통해 자칫 무거울 수도 있는 ‘삶과 죽음’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침묵’, ‘느림’ 때로는 ‘웃음’으로 1980~90년대의 한국에 대한 기억들을 더듬으며 현대사회의 모습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연극은 매니아층이 아니거나 

연극을 자주 접하지 않은 분들은 지루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장성희 작가, 김철리 연출 12년만의 재회, ‘2000년 새로운 예술의 해 희곡 선정作!  

장성희 작가의 <달빛 속으로 가다>는 1999년 정부가 내건 ‘2000년 새로운 예술의 해 희곡 공모’에

선정된 희곡이다. 당시의 지원금만으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2000년 8월 2일부터 8일까지 일주일간

짧게 공연 된 후로 12년 만에 서울시극단의 김철리 단장과 다시 만나 세종 M씨어터에서 재연되는 셈이다.

386세대를 위한 향수, 21세기 젊은이들에게는 세대 간의 소통

극중 배경인 1999년의 시대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는 이 작품은 노골적으로 당시의 정치, 사회적 사건들을

꼬집어내지는 않는다.다만 그 시대를 살았던 현재의 장년층들이라면 충분히 연극을 보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옛 기억들을 떠올리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될 것이고, 젊은 연령층의 관객들에게는 다양한 ‘죽음’의 사연을 통해 

윗세대가 견뎌 온 세월을 이해하며 현재 자신들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서울시극단 전 단원 출연, 객원배우 ‘남기애’와 ‘김 현’

오랜만에 서울시극단 단원들이 전원 출연하는 작품이라 정기공연으로의 의미가 더 빛을 발한다.

더불어 극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 ‘엄보살’ 役에 ‘남기애’, ‘노파’ 役에 ‘김현’을 외부에서 초빙, 합류시켜

작품에 한층 생기를 더해줄 것이다.



[줄거리]

깊은 산중에 있는 영불암에는 고시공부를 하다 실성한 청년 관식과 엄보살이 기거하고 있다. 

어느 날, 백중제사준비에 바쁜 이곳에 자살한 사나이의 시체를 지게에 지고 한 중년 남자가 내려온다. 

이어 늙은 시어머니와 며느리, 산에서 발을 접지른 중년의 의사, 그를 부축하고 온 의문의 중년남자,

사업이 망해서 공공근로를 하러 온 사람 등이 모여든다.

달이 중천에 떠오르며 죽음과 관련한 각자의 사연들이 교차하는데……



[사진:세종문화회관 서울시극단제공]


[티켓]


[커튼콜 사진]






반응형
Posted by 무림태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