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 4(마지막 공연!

연극 <The Helmet(더 헬멧)

-Room’s Vol.1>

4개의 공간과 4개의 이야기!

무대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 준 공연!

 

 

::사진 = 연극 <더 헬멧-Room’s Vol.1> 룸 서울 공연 사진ㅣ 사진제공 ()아이엠컬처::

 

공간을 네 개로 나누고 그 속에서 네 개의 이야기를 성공적으로 펼쳐 낸 연극 <더 헬멧>이 오는 3 4(폐막을 앞두고 있다.

 

연극 <더 헬멧>은 서울과 알레포 두개의 시공간으로 나누어 진행된다또 각 에피소드 안에서 룸 서울은 백골단(빅 룸)과 학생(스몰 룸)의 이야기룸 알레포는 화이트헬멧(빅 룸)과 아이(스몰 룸)의 이야기가 펼쳐져, 4개의 공간과 4개의 대본으로 진행되는 어디서도 볼 수 없는 형식을 가진 혁신적인 공연으로 누적 관람 후기 약 3600예매처 관객 평점 9.7을 기록했다특히 빅 룸과 스몰 룸은 각각의 방에서 나는 소음과 소리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공연 중간중간 벽을 투명하게 만들어 일련의 사건을 공유했다이는 관객들에게 벽 건너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더욱 궁금하게 만듦과 동시에 건너편 방의 상황을 상상해보고자신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들과 퍼즐을 맞추게 하여 집중력을 높였다는 평을 받았다.

 

::사진 = 연극 <더 헬멧-Room’s Vol.1> 룸 알레포 공연 사진ㅣ 사진제공 ()아이엠컬처::

 

연극 <더 헬멧>은 공간을 나눈다는 실험적인 공연이라는 것 외에도 극 속에 깊은 이야기를 담고 있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연극 <더 헬멧>의 룸 서울 에피소드에서는 민주화 운동을 주도했던 학생들그 중에서도 민주화 운동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여성의 이야기를 다루었다또 룸 알레포 에피소드에서는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이들특히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다. 공연을 관람한 관객들은 우리들이 꼭 기억해야 할 내용을 담고 있는 공연.”, “보고 나면 진한 여운이 남는 공연” 등의 호평을 쏟아냈다는 후문이다.

 

더불어 냉혈한 백골단과 순수한 시리아의 아이를 연기하며 상반된 매력을 보여 준 헬멧A의 이석준-정원조박력 있는 모습으로 백골단을 압도한 시고니와 시리아의 참상을 취재하며 인명 구조와 자신의 본분에 대한 내적 갈등을 잘 보여 주었던 헬멧 B의 손지윤-정연학생을 위하는 따뜻한 서점 주인과 화이트 헬멧 단원을 연기하며 캐릭터의 희생 정신으로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던 헬멧 C의 양소민-한송희능청스러운 백골단원을 연기하다가도,딱딱한 모습 뒤에 감춰진 화이트헬멧의 트라우마를 능숙하게 표현한 헬멧 D의 이호영-이정수민주화 운동을 주도하던 학생과신입 백골단원을 연기하며 한 에피소드 안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 준 헬멧 E의 윤나무-김도빈 등극의 완성도를 한 층 높여 준 배우들의 명연기 역시 관객과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네 가지의 이야기에 일상성의 회복이라는 공통의 메시지를 담아 독특한 무대 위에 풀어 낸 연극<더 헬멧>은 오는 3 4()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3관에서 공연된다(공연문의 02-541-2929)

Posted by 무림태풍
,

전쟁의 상흔을 딛고 일어날 수 있도록

연극 <The Helmet(더 헬멧)

-Room’s Vol.1>

 

헬프시리아’ 기획국장 압둘 와합이 본

룸 알레포’ 에피소드

 

 

 

::사진 = 연극 <더 헬멧-Room’s Vol.1> 헬프시리아 기획국장 압둘 와합 공연 관람 사진

좌측부터 정연양소민압둘 와합이정수김도빈정원조ㅣ 사진제공 ()아이엠컬처::

 

시리아 난민들을 돕기 위한 단체 헬프시리아의 압둘 와합 기획국장이 연극 <The Helmet(더 헬멧)-Room’s Vol.1>(이하 더 헬멧룸 알레포 에피소드를 관람한 후기를 전했다.

 

압둘 와합 기획국장은 10년 전 대한민국으로 온 시리아의 1호 유학생으로시리아의 상황을 알리고모금을 통해 구호 물품을 시리아에 보내는 등 시리아를 위한 활동을 하며 헬프시리아라는 단체를 만들었다압둘 와합이 공연을 관람 한 이후제작사 ()아이엠컬처는 서면으로 전달 받은 그의 공연 관람 소감을 전했고시리아가 아픔을 딛고 일어날 수 있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건넸다.

 

 

::사진 = 연극 <더 헬멧-Room’s Vol.1> 룸 알레포 공연 사진ㅣ 사진제공 ()아이엠컬처::

 

 

압둘 와합은 최근 영화 1987을 보고 1987년 당시의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던 차에당시의 한국과 현재의 시리아 알레포의 상황을 함께 묘사한 공연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시리아인으로서 궁금증을 가지고 이 공연을 보러 오게 되었다라며 본 공연을 보게 된 계기를 말했다또한 한국과 시리아의 언어와 문화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따뜻하고 열정적인 연기 덕분에 시리아인인 본인(압둘 와합)에게도 완벽하게 와 닿을 정도로 정말 좋은 공연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연극 <더 헬멧룸 알레포 에피소드에 호평을 보냈다.

 

이어 이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지금은 멀리 떨어진 시리아에서 공연과 같은 상황이 진행되고 있지만, 1987년에는 한국에서도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고어떤 나라라도 겪을 수 있는 일이다당시의 한국도 현재의 시리아도 사실 어느 누구도 예상했던 일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2011년 시리아에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시리아 사람들은 모두 평화로웠다전쟁이 일어나 국토가 피폐해지고 국민들은 난민에 되어 떠도는 일이 생길 것이라곤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라며 먼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지만 사실은 아주 가까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임을 깨닫게 했다.

 

더불어 연극 <더 헬멧>에 대해서 전 국토가 초토화 되어버린 전쟁을 겪은 경험과 독재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민들이 일어났다는 점 등한국과 시리아는 어찌 보면 비슷한 과정을 겪어온 나라이다이 공연은 한국과 시리아 두 나라의 그런 역사적 유사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고, “연극 <더 헬멧>을 보며 지금 시리아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그냥 먼 나라의 이야기로만 생각하지 말아주셨으면 한다한국은 전쟁과 독재를 극복하고 발전한 나라이며 평화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잘 알고 있는 나라이다지금 전쟁으로 고통 받는 시리아가 전쟁의 상흔을 딛고 일어나 다시 평화를 되찾을 수 있도록 시리아를 향한 관심과 응원을 보내 줄 것을 부탁했다.

 

마지막으로 부디 연극 <더 헬멧-룸 알레포>가 더욱 많은 분들께 사랑받는 공연이 되기를 바라며이 연극이 시리아에 대한 한국인 여러분들의 관심과 이해를 더욱 깊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그 소감을 전했다.

 

연극 <더 헬멧>은 서울과 알레포 두개의 시공간으로 나누어 진행된다또 각 에피소드 안에서 룸 서울은 백골단(빅 룸)과 학생(스몰 룸)의 이야기압둘 와합 기획국장이 관람한 룸 알레포는 화이트헬멧(빅 룸)과 아이(스몰 룸)의 이야기가 펼쳐져, 4개의 공간과 4개의 대본으로 진행되는 어디서도 볼 수 없는 형식을 가진 혁신적인 공연이다.

 

한편 연극<더 헬멧>은 오는 3 4()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3관에서 공연된다(공연문의 02-541-2929)

Posted by 무림태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