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파이프오르간시리즈 IX

<5대륙, 5인의 오르가니스트>

5.27()~28() 세종대극장

 

 

- 5대륙을 대표하는 세계적 오르가니스트들이 선보이는 55색 오르간 연주

-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5인의 오르간 합동 연주 무대

- 27<바흐의 밤>, ‘오르간 음악의 거장바흐 작품 총집합

- 28<눈부신 오르간의 밤>, 고전, 낭만, 현대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

공연명

세종문화회관 파이프오르간 시리즈 <5대륙, 5인의 오르가니스트>

일 시

5.27() 1930, 5.28() 17

장 소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연 주

마이클 엉거(Michael Unger, 아메리카), 마렉 스테판스키(Marek Stefanski, 유럽), 제레미

조셉(Jeremy Joseph, 아프리카), 김지성(Ji-Sung Kim, 아시아), 토마스 헤이우드(Thomas

Heywood, 오세아니아)

티 켓

VIP9만원, R7만원, S5만원, A3만원

주 최

()세종문화회관, 수키컴퍼니

예 매

세종문화티켓 02)399-1000 www.sejongpac.or.kr 인터파크 1544-1555 http://ticket.interpark.com

 

세종문화회관 대표 기획공연 파이프오르간 콘서트아홉 번째 시리즈

-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55색 오르가니스트들의 무대

세종문화회관(사장 이승엽)은 대표 기획공연인 파이프오르간 콘서트의 아홉 번째 시리즈 <5대륙, 5인의 오르가니스트>527()~28() 이틀간 세종대극장 무대에 올린다. ‘세종문화회관 파이프오르간 시리즈는 매년 쉽고 다양한 오르간 프로그램을 통해 오르간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는 공연으로, 2016년에는 국내 최초로 5대륙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오르가니스트들이 한 무대에 선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오르간 음반을 출시한 오르가니스트인 토마스 헤이우드(Thomas Heywood), 14세 때부터 교회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한 아프리카 출생의 제레미 조셉(Jeremy Joseph), 북미와 유럽 및 일본 등 세계 무대로 활약 중인 캐나다 오르가니스트 마이클 엉거(Michael Unger), 폴란드 태생의 마렉 스테판스키(Marek Stefanski), 국제 오르간 콩쿨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는 한국의 오르가니스트 김지성 5인이 각각 개성 있는 솔로 연주뿐 아니라, 듀오 연주 등을 선보인다.

27()에는 바흐의 밤을 열어 바흐의 정통 오르간 곡 외에도 오르간 연주곡으로 편곡한 바흐의 명곡 등을 선보인다. 28()에는 고전, 낭만, 현대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보여줄 눈부신 오르간의 밤이 마련되어 있다. 특별히 마지막에는 4명의 오르가니스트를 위한 연주곡 탱고 1997’5명이 함께 연주할 예정이다. 이 곡은 무려 424개의 건반을 눌러야 하는 대곡으로 악기의 제왕이라 불리는 파이프오르간의 진면목을 감상할 수 있다. (티켓 : 9만원~3만원, 문의 : 02)399-1000)

오르간 음악의 거장 바흐부터 모차르트, 슈만, 비도르, 하일러까지...

바로크부터 고전, 낭만, 현대에 이르는 폭 넓은 레퍼토리 선보여

이번 공연에서는 이틀간 바흐, 모차르트, 슈만 등 바로크부터 고전, 낭만, 현대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보인다. 27()바흐의 밤(Bach Night)’을 주제로 음악의 아버지이자 오르간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 바흐의 작품들로 구성해 토카타와 푸가를 제외한 모든 양식을 다룬다. 1부에는 바흐가 작곡한 정통 오르간 곡 중 전주곡(프렐류드 Prelude), 환상곡(판타지 Fantasy), 파사칼리아(Passacaglia), 코랄(Chorale), 변주곡(Variation)을 연주하고, 2부에는 바흐의 명곡들을 오르간 연주곡으로 편곡하여 연주할 예정이다. 후에 리스트가 피아노 곡으로 편곡하였고 오늘날에는 교향악단 공연에도 연주되기도 하는 바흐의 환상곡과 푸가 g단조 BWV 542’와 바흐의 수많은 오르간 곡 중 최고의 명작이라 불리는 파사칼리아 c단조 BWV 582’, 그리고 오르간으로 연주하는 브란덴부르그 협주곡 제3등을 감상할 수 있다.

28()눈부신 오르간의 밤(Pipe Organ Spectacular Night)’을 주제로 연주자 다섯 명의 또 다른 개성과 오르간의 다채롭고 풍부한 매력을 엿볼 수 있는 무대를 펼친다. 모차르트, 차이코프스키, 비도르, 슈만, 시벨리우스 등의 오르간 원작품과 편곡 작품들을 통하여 오르간의 광범위한 음악을 선보인다. 또한 연주의 마지막에 선보일 다섯 명의 오르가니스트가 1대의 오르간으로 함께 연주하게 될 피날레 무대는 쉽게 볼 수 없는 만큼 기대해도 좋다. 피날레 무대에서는 4명의 오르가니스트를 위한 곡 탱고 1997’를 연주하는데 토마스 로스가 1997년에 작곡한 이 곡은 424개의 건반을 눌러야 하는 대곡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특별히 5명의 연주자가 함께 1대의 오르간으로 함께 또는 번갈아 가며 연주하게 될 예정이다.

 

각기 개성 있는 연주를 선보일 5대륙 대표 오르가니스트

아메리카 대륙을 대표하는 연주자 마이클 엉거(Michael Unger)는 캐나다 태생으로 현재 미국 신시내티(Cincinnati) 대학의 교수로 일본의 무사시노 콩쿨과 미국 오르가니스트 협회주관 콩쿨, 네덜란드 슈니트거 콩쿨에서 입상하며 이름을 알려왔다. 낙소스(Naxos)와 프로 오르가노(Pro Organo) 등의 음반회사를 통해 음반을 발표하였으며 북미와 유럽, 일본 등지에서 연주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유럽의 대표 연주자 마렉 스테판스키(Marek Stefanski)는 폴란드 태생으로 유럽 전역과 이스라엘, 러시아, 남미 등지에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크라쿠프(Cracow)음대에서 오르간을 지도하고 있다. 또한, 폴란드 대표 음악페스티벌 제스조브 성당 오르간 & 실내악의 밤 퍼포먼스(Evening Performances of Organ and Chamber Music in Rzeszow Cathedrale)’, ‘야로스와프 수도원 오르간 음악회(Organ music in Jaroslaw Abbey)’, ‘크라쿠프 교회당 봄날의 오르간 음악(Spring days of organ muzyc at the Basilica of the Jesuits in Kraków)’의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의 대표 오르가니스트 제레미 조셉(Jeremy Joseph)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더반(Durban) 출신으로 현재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거주하면서 유럽과 미국뿐만 아니라 러시아, 홍콩 등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는 이번 연주자들 중 가장 젊은 멤버로, 9세부터 오르간을 시작 14세에 교회 오르가니스트로 활동, 이후 독일에서 오르간을 수학하였으며 독일 질버만 콩쿨, 아일랜드 더블린 콩쿨에서 입상한 바 있다. 다수의 음반을 발매하기도 한 그는 현재 빈 음악대학의 교수 및 오스트리아 빈 호프카펠레 오르가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아시아 대표로는 작년 세종문화회관 파이프오르간시리즈 VIII ’피터와 오르간공연으로 관객들에게 뜨거운 호평을 받은 김지성 오르가니스트가 함께한다. 94년 독일 쾰른 필하모니홀에서의 공식 데뷔연주 이후 61개국에서 연주해왔으며 독일, 일본, 룩셈부르크 등의 국제 오르간콩쿨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는 탁월한 즉흥 연주와 친근한 공연 진행 능력으로 유명하다. 서울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코리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한국의 여러 오케스트라와 협연 한 바 있으며 현재 서울신학대학 교회음악과 교수로 있다.

마지막 오세아니아 대륙의 대표 토마스 헤이우드(Thomas Heywood)는 호주를 대표하는 오르가니스트로, 17세에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오르간 독주회로 화려하게 데뷔하였다. 94년부터 호주에서 가장 많은 공연을 한 오르가니스트 중 한 명이자 30여장의 음반을 발매한 세계 최다 오르간 연주 음반 출시 아티스트로도 유명하다. 고전과 낭만음악의 수많은 명곡을 오르간 솔로로 편곡하는 데 재능이 있는 그는 현재 영국 세인트 앤드류 성공회교(St Andrew’s Anglican Church, Brighton)의 예술감독이자 호주와 뉴질랜드 오르가니스트 대학(Australian and New Zealand College of Organists)의 총장 및 예술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사진제공:세종문화회관)

Posted by 무림태풍
,